니콜라이 불가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콜라이 불가닌은 볼셰비키에 가입하여 체카에서 활동했으며, 스탈린 시대에 모스크바 시장,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인민 위원회 의장, 소련 부총리 등을 역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정치 위원으로서 붉은 군대에서 활동했으며, 스탈린 사후에는 니키타 흐루쇼프와 협력하여 권력 투쟁에서 승리하는 데 기여했다. 이후 소련 각료회의 의장을 맡았으나, 흐루쇼프와의 갈등으로 인해 실각하여 은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제1부정부수반 - 알렉세이 코시긴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코시긴은 1964년부터 1980년까지 소련의 총리를 역임한 정치인이자 경제학자로, 스탈린 시대에 급속 승진하여 경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1965년 경제 개혁을 통해 소비재 생산 확대와 경제 효율성 증대를 시도했다. - 소련의 제1부정부수반 - 프롤 코즐로프
프롤 코즐로프는 소비에트 연방의 정치인으로, 레닌그라드 당 조직 재건을 주도하고 흐루쇼프의 후계자로 거론되었으나 알코올 의존증과 뇌졸중, 그리고 노보체르카스크 학살 책임 논란으로 실각했다. - 제1차 세계 대전 관련자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제1차 세계 대전 관련자 - 이승만
이승만은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이자 독립운동가로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대통령을 역임하고 해방 후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독재적 통치와 부정부패에 대한 비판도 받으며 4·19 혁명 후 하와이로 망명하여 서거하였다. - 소련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 - 미하일 칼리닌
미하일 칼리닌은 러시아 혁명가이자 소련의 정치인으로, 볼셰비키 혁명에 기여하여 소련의 국가 원수를 역임했으며, 스탈린 시대에는 명목상의 국가 원수 역할을 수행하다 사망 후 국장으로 예우받았다. - 소련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 - 이오시프 스탈린
이오시프 스탈린은 소비에트 연방의 독재자이자 소련 공산당 지도자로서, 소련의 산업화와 2차 세계 대전 승리를 이끌었지만 대숙청과 공포 정치로 수백만 명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그의 통치와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논쟁의 대상이다.
니콜라이 불가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니콜라이 알렉산드로비치 불가닌 |
출생일 | 1895년 6월 11일 |
출생지 | 니즈니노브고로드, 러시아 제국 |
사망일 | 1975년 2월 24일 |
사망지 | 모스크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비에트 연방 |
안장지 | 노보데비치 묘지, 모스크바 |
국적 | 소비에트인 |
민족 | 러시아인 |
종교 | 러시아 정교회 신자에서 무신론자로 개종 |
정치 | |
소속 정당 |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1917년–1960년) |
중앙 기관 회원 | 1948–58: 정회원, 제18차, 제19차, 제20차 정치국 1946–52: 제18차 조직국 1946–48: 후보위원, 제18차 정치국 1944–45: 위원, 국방위원회 1934–58: 정회원, 제17차, 제18차, 제19차, 제20차 중앙위원회 |
기타 직위 | 1958: 소련 국립은행 의장 1940–42: 소련 국립은행 의장 1938–40: 소련 국립은행 의장 1938–44: 인민위원회 부의장 1937–38: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인민위원회 의장 1931–37: 모스크바 시 소비에트 집행위원회 의장 |
경력 | |
군 종류 | 붉은 군대 |
복무 기간 | 1941–1958 |
계급 | 소비에트 연방 원수(1947–1958) |
지휘 | 소비에트 연방군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
훈장 | 사회주의 노동 영웅 |
주요 직책 | |
제6대 소비에트 연방 각료평의회 의장 | 임기 시작: 1955년 2월 8일 임기 종료: 1958년 3월 27일 대통령: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제1 부수상: 아나스타스 미코얀, 미하일 페르부힌, 막심 사부로프, 요시프 쿠즈민, 라자르 카가노비치 전임: 게오르기 말렌코프 후임: 니키타 흐루쇼프 |
소비에트 연방 국방부 장관 | 임기 시작: 1953년 3월 15일 임기 종료: 1955년 2월 9일 수상: 게오르기 말렌코프 전임: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니콜라이 쿠즈네초프 후임: 게오르기 주코프 |
소비에트 연방 각료평의회 제1부의장 | 임기 시작: 1950년 4월 7일 임기 종료: 1955년 2월 8일 수상: 이오시프 스탈린, 게오르기 말렌코프 전임: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후임: 아나스타스 미코얀 |
군사부 장관 | 임기 시작: 1947년 3월 3일 임기 종료: 1949년 3월 24일 수상: 이오시프 스탈린 전임: 이오시프 스탈린 후임: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인민위원회 의장 | 임기 시작: 1937년 7월 22일 임기 종료: 1938년 9월 17일 |
수상 경력 | |
수상 내역 | 사회주의 노동 영웅 레닌 훈장 붉은 깃발 훈장 수보로프 훈장 쿠투조프 훈장 붉은 별 훈장 레닌 탄생 100주년 기념 메달 스탈린그라드 방어 메달 모스크바 방어 메달 독일 승리 메달 대일 승리 메달 제2차 세계 대전 승리 20주년 메달 소련 군대 및 해군 30주년 메달 소련 군대 40주년 메달 소련 군대 50주년 메달 모스크바 800주년 기념 메달 |
외국 훈장 | 폴란드 복원 훈장 비르투티 밀리타리 훈장 그룬발트 십자 훈장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스타 훈장 유고슬라비아 민족 해방 훈장 투바 공화국 훈장 몽골 붉은 깃발 훈장 한국 해방 메달 |
2. 어린 시절
볼가강에 위치한 산업 및 교역 중심지인 니즈니노브고로드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알렉산드르는 회계사로 일했으며, 불가닌은 비교적 부유한 가정에서 성장하여 좋은 사교육을 받았다.[2] 아버지는 Семёнов (город)ru에서 50킬로미터 떨어진 세이마 역의 빵 제조 공장에서 근무했다.[10] 1915년, 불가닌은 니즈니노브고로드에서 전기 기술 견습생으로 일하기 시작했고, 1917년에는 실과 중학교에 다녔지만, 러시아 혁명을 거쳐 러시아 공산당(볼셰비키)에 입당했다.[11]
1917년 러시아 혁명 와중에 볼셰비키(공산당)에 가입하였다. 이후 몇 달간 지방의 섬유 공장들에서 당 조직원으로 활동했다. 1918년 초, 내전이 발발하자 비밀경찰의 전신인 체카에 합류했다.[11] 러시아 내전 기간 동안 붉은 군대 통제를 담당하는 전 러시아 체카 특별부에서 복무했다. 1918년부터 1919년까지 모스크바-니제고로드 수송 체카 부위원장, 1919년부터 1921년까지 투르케스탄 전선 특별 수송 작전 부대장, 1921년부터 1922년까지 투르케스탄 군관구 수송 체카 부장, 1922년부터 러시아 공화국 국가정치보안부 수송 정보부 부부장 등 다양한 직책을 역임했다.
1922년부터 1927년까지 소련 국민 경제 회의 전기 트러스트 이사를 지냈고, 1927년부터 1931년까지 모스크바 전기 공장장을 역임했다. 1930년, 이 공장은 소련 공장 중 최초로 레닌 훈장을 받았으며, 불가닌도 레닌 훈장 수여자가 되었다. 니키타 흐루쇼프의 아내는 이 공장의 당 위원회에서 근무했고, 흐루쇼프는 공장 시찰 위원회 책임자였다. 이때부터 두 사람의 신뢰 관계가 시작되었다.
1917년 혁명중에 볼셰비키(공산당)에 가입하였다. 지방 섬유 공장에서 당 조직자로 일하다가, 1918년 초 내전 발발 후 비밀경찰 체카에 합류했다. 1917년부터 1918년까지 니즈니노브고로드의 Завод имени Я. М. Свердловаru 경비원으로 일했다. 고르키, 투르키스탄, 모스크바에서 체카 요원으로 활동하며 라자리 카가노비치,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등 훗날의 당 지도자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
러시아 내전에서는 붉은 군대에 대한 통제를 담당하는 전 러시아 체카 특별부에 소속되었다. 1918년부터 1919년까지 모스크바-니제고로드 수송 체카 부위원장, 1919년부터 1921년까지 투르케스탄 전선 특별 수송 작전 부대장, 1921년부터 1922년까지 투르케스탄 군관구 수송 체카 부장, 1922년부터 러시아 공화국국가정치보안부 수송 정보부 부부장 등 다양한 직책을 역임했다.
3. 초기 경력
1922년, 불가닌은 소련 경제 기획 및 지휘를 담당하는 국가 경제 회의의 일원이 되었다. 1927년에는 모스크바의 전기 부품 공장 "엘렉트로자보드" 책임자가 되었다. 불가닌은 이오시프 스탈린의 산업화 정책을 추진하면서 3년 만에 국민경제 5개년 계획 할당량을 완수하여 전국적인 주목을 받았다.[10] 1930년, 해당 공장은 소련 공장 중 최초로 레닌 훈장을 받았으며, 불가닌도 최초의 레닌 훈장 수여자 중 한 명이 되었다.
4. 스탈린 시대
1931년부터 1937년까지 모스크바시 소비에트 의장을 지내면서, 모스크바에서의 반우파 투쟁과 모스크바 시 개조 계획을 추진하여 스탈린에게 인정받았다. 1934년 전소련 공산당 제17차 당 대회에서 중앙 위원 후보로 선출되었다.
1937년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인민 위원회 의장(러시아의 총리)을 지냈고, 1938년 소련 인민 위원회 부의장(부총리) 겸 고스방크 총재를 역임했다. 1939년 소련 공산당 중앙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4. 1. 스탈린의 숙청에서 살아남다
1931년 불가닌은 모스크바 소비에트 의장(시장)이 되었다. 그는 당시 모스크바 당위원회 서기였던 라자리 카가노비치와 긴밀히 협력하였다. 1934년 불가닌은 중앙위원회 후보 위원이 되었다.[2]
니키타 흐루쇼프와 불가닌은 모스크바 지하철 건설을 포함한 모스크바 도시 개발 사업에 참여했다.[3] 대숙청 시기에도 불가닌은 이오시프 스탈린의 신임을 받아 살아남았다. 1937년 7월, 그는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인민위원평의회 의장(총리)에 임명되었다. 1938년에는 소련 부총리 겸 국립 은행장에 임명되었다.[3]
4. 2. 제2차 세계 대전
1941년 독일의 침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불가닌은 정부와 붉은 군대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맡았다. 그는 세묜 티모셴코 원수가 지휘하는 서부 전선의 수석 정치 위원을 시작으로, 여러 전선에서 정치 위원으로 활동했다.[3] 1944년 7월까지 이 직책을 수행한 후, 폴란드 민족해방위원회의 소련 대표로 임명되었다.[3]
1944년 11월 18일, 불가닌은 대장 계급을 받았고,[3] 사흘 뒤에는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원수를 대신하여 이오시프 스탈린이 의장을 맡고 있던 국가 방위 위원회 위원이 되었다.[3][4] 또한 국방부 차관으로 임명되어 스탈린을 보좌했다.[3]
전쟁 중 불가닌은 최전선 지휘관은 아니었지만, 서부 전선, 제2 발트 전선, 제1 백러시아 전선 등에서 정치 위원의 최고 책임자로서 활동하며 전쟁 수행에 기여했다.[4]
5. 스탈린 사후
1953년 3월 이오시프 스탈린 사망 이후, 불가닌은 국방부 장관으로 재임명되면서 소련 지도부에서 높은 위치로 올라섰다. 그는 권력 투쟁에서 게오르기 말렌코프에 맞서 니키타 흐루쇼프의 동맹자였으며, 1955년 2월에는 말렌코프를 이어 소련 각료회의 의장이 되었다.[9] 그는 흐루쇼프의 개혁과 탈스탈린화를 지지했다. 1955년 7월에는 제네바 정상회담에 참석하여,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 등을 만났다. 그는 흐루쇼프와 함께 인도, 유고슬라비아를 방문했으며, 1956년 4월에는 영국을 방문했는데, 언론에서는 이들을 "B와 K 쇼"[6] 또는 "불지 앤 크러쉬"라고 불렀다. 그러나 흐루쇼프는 회고록에서 "불가닌을 전적으로 신뢰할 수 없었다"고 회상했다.[7]
1957년에 이르러 불가닌은 뱌체슬라프 몰로토프가 이끄는 반대파가 흐루쇼프의 정책에 대해 품었던 의구심을 공유하게 되었다. 6월에 반대파가 정치국 회의에서 흐루쇼프를 실각시키려 했을 때, 불가닌은 두 진영 사이에서 망설였다. 반대파가 패배하고 권력에서 제거되자, 불가닌은 한동안 자신의 자리를 유지했지만, 1958년 3월, 최고 소비에트 회의에서 흐루쇼프는 그의 사임을 강요했다.[9] 불가닌은 소련 국립은행 의장에 임명되었지만, 곧 스타브로폴로 파견되어 지역 경제 위원회 의장을 맡았다. 11월 12일에는 중앙위원회 간부회(정치국)에서 축출되었고, 9월에는 중앙위원회에서 해임되고 원수 칭호를 박탈당했으며, 1960년 2월에는 연금으로 은퇴했다.
5. 1. 흐루쇼프와 협력

불가닌은 1953년 이오시프 스탈린 사망 이후, 니키타 흐루쇼프를 지원하여 권력 투쟁에서 게오르기 말렌코프를 제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9] 흐루쇼프가 제1서기장이 되도록 도왔고, 군사적 영향력을 이용하여 라브렌티 베리야의 제거를 보장했다. 불가닌은 국방 장관에 재임명되었고,[9] 1955년 2월에는 말렌코프의 뒤를 이어 소련 각료회의 의장(총리)에 취임했다.[9]
불가닌은 흐루쇼프의 탈스탈린화 정책을 지지했으며, 흐루쇼프와 함께 인도, 유고슬라비아, 영국 등을 방문하며 평화 공존 외교를 펼쳤다. 이들은 언론에서 "B와 K 쇼"[6] 또는 "불지 앤 크러쉬"라고 불렸다. 1955년 7월에는 제네바 정상회담에 참석하여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 등을 만났다.
5. 2. 수에즈 위기
1956년 10월부터 11월까지 수에즈 위기 당시, 불가닌은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 정부에 서한을 보내 이집트에서 군대를 철수하지 않으면 런던, 파리, 텔아비브에 로켓 공격을 가하겠다고 위협했다. 불가닌은 이스라엘 총리 다비드 벤구리온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스라엘은 범죄적이고 무책임한 방식으로 평화의 운명, 자국민의 운명을 가지고 놀고 있으며, [...] 이스라엘의 존립 자체에 의문을 제기할 것"이라고 적었다.[8] 니키타 흐루쇼프는 회고록에서 당시 로켓을 발사할 ICBM이 충분하지 않았고, 어쨌든 1956년에 전쟁을 할 의도가 없었기 때문에, 이 위협은 단지 서방의 여론을 분열시키기 위한 것이었다고 인정했다.6. 몰락과 실각
1957년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등이 주도한 반당 그룹 사건에서 불가닌은 니키타 흐루쇼프의 정책에 대한 의구심을 공유하며 흐루쇼프 해임에 찬성했다.[9] 흐루쇼프는 중앙위원회를 소집하여 반당 그룹을 제거하고 권력을 강화했다. 1958년 3월, 불가닌은 각료회의 의장에서 해임되고 소련 국립은행 의장으로 좌천되었다. 이후 스타브로폴 지역 경제 위원회 의장으로 밀려났으며, 같은 해 중앙위원회 간부회(정치국)에서 축출되었다. 1958년 9월에는 중앙위원회에서 해임되고 원수 칭호도 박탈당했다. 1960년 2월, 연금을 받고 은퇴했다.
7. 은퇴 이후
불가닌은 1975년 2월 24일, 79세의 나이로 오랜 지병으로 사망했으며, 노보데비치 묘지에 안장되었다.[1]
8. 개인사
엘레나 미하일로브나 코로비나ru는 모스크바 학교의 영어 교사였다. 불가닌과 코로비나 사이에는 아들 레프와 딸 베라, 두 명의 자녀가 있었다. 베라는 제독 니콜라이 쿠즈네초프의 아들과 결혼했다.[1]
9. 수상 내역
사회주의 노동 영웅 (1955년 6월 10일) | |
![]() | 레닌 훈장 2회 (1931년, 1955년) |
![]() | 적기 훈장 (1943년) |
![]() | 수보로프 훈장 1급 (1945년) 및 2급 (1943년) |
![]() | 쿠투조프 훈장 1급 2회 (1943년, 1944년) |
적성 훈장 2회 (1935년, 1953년) | |
Орден Республики (Тува)|투바 인민 공화국 공화국 훈장ru (1942년 3월 3일) | |
무공 훈장 대십자장 (폴란드) |
참조
[1]
웹사이트
Nikolay Aleksandrovich Bulganin (premier of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www.britannic[...]
2014-06-11
[2]
웹사이트
XPOHOC
http://hrono.ru/biog[...]
[3]
웹사이트
ru:Никола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Булганин председатель совета министров СССР с 1955 по 1958 годы
https://myhistorypar[...]
2021-01-27
[4]
서적
Special Tasks, the Memoirs of an Unwanted Witness – a Soviet Spymaster
Warner Books
1995
[5]
서적
COMMENTS ON THE CHANGE IN SOVIET LEADERSHIP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1955-03-02
[6]
서적
A History of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Prentice Hall
1965
[7]
서적
Memoirs of Nikita Khrushchev, Volume 2: Reformer (1945–1964)
https://books.googl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2006
[8]
웹사이트
7 Exchange of Letters- Bulganin- Ben-Gurion- 5 and 8 November 1956
http://mfa.gov.il/MF[...]
Ministry of Foreign Affairs (Israel)
[9]
서적
The Cold War: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1917–1991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10]
뉴스
Премьер Булганин: История неизвестного главы правительства СССР
http://www.aif.ru/so[...]
Аргументы и факты
2015-06-11
[11]
웹사이트
Справочник по истории Коммунистической партии и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1898—1991
http://www.knowbysig[...]
2013-11-20
[12]
웹사이트
Булганин Никола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https://web.archive.[...]
Министерство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2018-02-03
[13]
서적
現代世相風俗史年表:1945-2008
河出書房新社
2009-03
[14]
뉴스
Николай Третий
http://svpressa.ru/p[...]
Свободная пресса
2015-06-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